한국에서 피어난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역사를 돌아보다
국립현대미술관(MMCA)에서 개최한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 전이 MMCA 과천관에서 열리고 있다. 192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활동한 한국 대표 추상미술가 47인의 작품 150여 점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에 대한 관심을 일깨우고, 더욱 활발한 연구와 논의를 통해 한국 미술의 기초를 탄탄하게 다지기 위해 기획됐다.
기하학적 추상미술이란 이름 그대로 점과 선, 원과 사각형 등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형태, 원색의 색채, 화면의 평면성 등을 강조하는 회화의 한 경향이다. 서구에서는 몬드리안, 칸딘스키, 말레비치와 같은 작가들의 작업을 통해 각광받았고, 20세기 내내 현대미술의 주요한 경향이 되었다.
국내에도 1920-30년대 근대기에 등장해 1960-70년대에는 전방위적으로 확산되는 등 미술사의 변곡점마다 각기 다른 양상으로 존재했지만, 장식적인 미술 혹은 한국적이지 않은 추상으로 인식되며 앵포르멜이나 단색화와 같은 다른 추상미술의 경향에 비해 중요하지 않게 여겨졌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전시를 통해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이 지닌 독자성을 밝히고 숨은 의미를 복원함으로써, 한국 추상미술의 역사를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는 기회를 마련했다. 또한 기하학적 추상미술이 건축과 디자인 등 연관 분야와 접점을 맺고 당대의 사회 변화와 연동되면서 한국 미술의 외연을 확장하는 역할을 해왔다는 점에 주목한다. 전시는 5월 19일까지.